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는 감정평가 및 부동산 이론, 정책, 실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과 정책방향을 제시한 것입니다.


[기본 2022-01] 기업가치평가 시 DCF법을 적용한 할인율 결정에 관한 연구

조회수 5190
  • [연구진] 김태훈 연구위원
  •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치평가 시 DCF법을 적용한 할인율 결정 실태 및 실무관행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감정평가실무상 할인율 추정요소별 결정 기준 등과 관련한 기초자료 제공 및 할인율 결정을 위한 합리적 적용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DCF법을 적용한 할인율 결정 관련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기업가치평가 시 DCF법에 따른 할인율 결정의 합리적 적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타인자본비용 추정 관련 합리적 적용 방향으로, 실무상 타인자본비용은 대상기업의 규모, 자본구조 및 재정상태, 부채비율을 고려하고, 시중은행의 기업대출금리, 동종 유사기업의 차입금의존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하였다.

    둘째, CAPM을 이용한 자기자본비용 추정요소 적용 관련 합리적 적용 방향은 무위험수익률(Rf) 추정, 시장위험프리미엄[E(Rm)-Rf] 추정, 베타계수(β) 추정, 추가 위험프리미엄(SRP) 추정으로 구분하여 제언하였다. 

    셋째, 자본구조 결정 관련 합리적 적용 방향은 자본구성비율 적용, 목표자본구조 결정 시 합리적 적용 방향으로 구분하여 제언하였다. 

    넷째, 현행 「실무기준 해설서」에서는 기업가치평가 시 DCF법 적용을 위한 할인율 결정 관련 내용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할인율 결정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준 및 유의사항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다섯째, 실무관행상 DCF법에 따른 할인율 결정 시 활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는 주요 참고자료 및 지표 등의 실무상 활용 시 유의사항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DCF법을 적용한 할인율 결정 관련 고려사항 및 합리적 적용 방향, 할인율 결정 시 관련 참고자료 및 지표 등 활용 사항 등을 반영하여 가상 평가사례를 설정하여 추정요소별 결정 기준 등을 바탕으로 분석대상 기업의 할인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주제어] 기업가치평가, 할인현금흐름분석법(DCF법), 할인율,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