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최근 국내 건축공사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사업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는 현장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20년 초반의 글로벌 팬데믹(Covid-19), 2020년 하반기부터 시작한 철근값 급등, 2022년 2월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시멘트 공급 대란, 2023년 10월부터 하마스 침공으로부터 촉발된 중동 분쟁 악화 등 일련의 사태들이 건설자재 가격, 물류비용, 인건비의 동반 상승을 야기하여 건설 산업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24년 10월 2일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자재비 급등을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하는 등 공사비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산업 현장에서 지속되고 있는 건축공사비 상승 현상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공사비 항목 구조를 통해 그 원인과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개별 요인(자재비, 인건비 등)의 비용 상승이 전체 공사비 상승에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원은 2017년부터 원가법 감정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자료로써 건물의 유형, 구조, 재료 및 등급에 따른 표준단가를 제시하는 “건축물 재조달원가 자료집”을 발간해왔으며, 이를 통해 건축공사비의 상승 실태와 그 원인 및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건설공사비 상승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구조에 따라 그 상승폭이 차별적으로 나타났으며, 인건비 비중이 높은 건축구조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의 단가 상승을 보였다. 둘째, 노무비 상승률이 노임단가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나 노무량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 별도의 요인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제도적 변화가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을 비용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증가 또는 감소 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산업 현장에서 지속되고 있는 건축공사비 상승 현상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공사비 항목 구조를 통해 그 원인과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개별 요인(자재비, 인건비 등)의 비용 상승이 전체 공사비 상승에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원은 2017년부터 원가법 감정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자료로써 건물의 유형, 구조, 재료 및 등급에 따른 표준단가를 제시하는 “건축물 재조달원가 자료집”을 발간해왔으며, 이를 통해 건축공사비의 상승 실태와 그 원인 및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건설공사비 상승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구조에 따라 그 상승폭이 차별적으로 나타났으며, 인건비 비중이 높은 건축구조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의 단가 상승을 보였다. 둘째, 노무비 상승률이 노임단가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나 노무량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 별도의 요인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제도적 변화가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을 비용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증가 또는 감소 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